국악기의 종류와 설명(explanation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20 21:13
본문
Download : 국악기의 종류와 설명.hwp
2. 아쟁
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그 모양새가 비슷한 아쟁(牙箏)은 7줄의 국악기로 해금과 더불어 활로 줄을 문질러 연주하는 찰현(擦絃)악기이다.
다. 리포트에 좋은 내용이 되기를 바랍니다.
3. 대금
가로로 부는 대금은 삼죽(대금‧중금‧소금)중 가장 큰 악기이고 가얏…(생략(省略))
순서
국악기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한 리포트입니다.
설명


,공학기술,레포트
국악기의종류와설명(explanation)
Download : 국악기의 종류와 설명.hwp( 33 )
국악기의 종류와 설명(explanation)
1. 해금
2. 아쟁
3. 대금
4. 피리
5. 좌고
6. 진고
1. 해금
해금(奚琴)은 찰현(擦絃)악기로서 해금이라고도 하며 속칭 깡깡이‧깽깽이라고도 한다. 활을 줄과 줄 사이에 끼워 두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해금은 원래 중국(中國)에서 당(唐)‧송(宋)나라 이후 속악(俗樂)에 쓰이던 것이 우리나라에는 고려 때 들어와 향악에 사용되어 왔다. 다들 A+ 받으시길 바랍니다.국악기의종류와설명 , 국악기의 종류와 설명공학기술레포트 ,
레포트/공학기술
국악기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(explanation)한 리포트입니다. 특히 국악기 제작의 여덟가지 재료인 8음을 모두 갖춘 악기는 이 해금뿐이다. 다들 A+ 받으시길 바랍니다. 현악기 중에 가장 좁은 음역(音域)을 가지고 있는 저음악기로서 개나리나무의 껍질을 벗겨 송진을 칠한 활로 힘차게 줄을 문질러 내기 때문에 약간 거칠기는 하나 장대한 지속음을 낸다. 또 삼현육각을 비롯해 궁중음악의 편성에는 물론, 민속악 전반과 무용 반주악에 있어서도 피리‧대금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가락 악기이다.
해금엔 일정한 음자리가 없어 줄을 잡는 손의 위치와 줄을 당기는 강약에 따라 음높이가 정해진다. 리포트에 좋은 내용이 되기를 바랍니다.